본문 바로가기
기록하는 남자/투자

장기투자 vs 단기투자 _1 (시가총액 순위 비교)

by 기기남녀 2020. 11. 17.
728x90

안녕하세요? 기기남녀 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잃지 않는 투자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 설명드렸습니다.

kikinam.tistory.com/53

주식투자 마인드 (복리의 마법 - 72의 법칙)

안녕하세요? 기기남녀 입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잃지 않는 투자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kikinam.tistory.com/50 주식투자 마인드 (-50 = +100의 법칙 / 잃지 않는투자 안녕하세요? 기기

kikinam.tistory.com

 

오늘은 투자기간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주위에서 이런 얘기 들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 장기투자해라! 

- 자식 한테 물려줄 주식을 사라!

- 큰 기업을 사면 위험하지 않다!

- 본전이 될 때까지 절대 팔지 말아라!

 

 

과연 오래 보유한 주식은 손해보지 않을까요??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23 더스쿠프 e-메거진

 

 

위에 표는 2000년 시가총액 상위 10 종목과 2020년 시가총액 상위 10 종목을 비교한 표입니다.


※ 시가총액 이란?

: 상장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주식시장에서 평가되는 주식의 가치

(계산방법 : 발행주식수 X 주가 = 시가총액 )

즉, 시가총액이 높을수록 그 기업이 시장에서 높게 평가된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의 시가총액 1위 기업은 어디일까요?

우리나라 사람이라면 누구나 쉽게 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삼성전자"

 

그렇다면 2위 ~ 10위 기업은 어디일까요?

재미있는 사실은 2~10위의 순위는 계속 변동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2000년도 시가총액 2위 기업이던 SK텔레콤은 2020년 15위로 떨어졌고

2000년도 시가총액 10위 기업이던 LG유플러스는 2020년 40위로 떨어졌습니다.

 

2000년도 시가총액 10위 기업 안에는 SK텔레콤,KT,LG유플러스 우리나라 3대 통신사가 포함되어 있는걸 볼 수 있고

2020년 시가총액 10위기업안에는 삼성정자/하이닉스, 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네이버/카카오 - 이렇게 반도체, 바이오, 인터넷 관련 기업들이 포함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 20년 전에는 통신사 관련 섹터가 이목을 끌었다면 현제는 반도체, 바이오, 인터넷 관련 기업이 큰 인기를 누리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www.thescoop.co.kr/news/articleView.html?idxno=40423 더스쿠프 e-메거진 (일부수정)

 

- 위에 표는 2000년/2010년/2020년 10년 단위의 시가총액 순위입니다.

 

 

2010년 시가총액 10위 안에 기업을 매수했을 시 지금의 수익률은 어떠한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 1위 삼성전자 >

 

삼성전자 (2020년 11월 16일 12:00 기준)

 

: 10년 기준으로 보면 변동폭이 있지만 우상향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반도체/핸드폰/가전/디스플레이 등 많은 분야에서 꾸준한 성과를 보이며 성장을 지속하였고 메모리 반도체 세계 1위를 굳힘으로 주가가 더욱 탄력을 받아 상승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최저점(2011년 8월 19일)에 삼성전자 주식을 매수하여 지금(66,000원)까지 보유하고 있었다면 

수익률 : 491% = 약 5배의 수익을 올릴 수 있었던 것으로 파악됩니다.


<2010년 2위 기업 POSCO(포스코)>

 

포스코 (2020년 11월 16일 12:00 기준)

 

10년 기준으로 변동폭이 있지만 우하향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최고점(2011년 4월 1일)에 포스코 주식을 매수하여 지금(240,000원)까지 보유하고  있었다면

수익률 :  -217% = 약 2배의 손실을 기록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0년 3위 기업 현대차>

 

현대차 (2020년 11월 16일 12:00 기준)

 

10년 기준으로 변동폭이 상당히 큰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우하향 기조를 그리다 요즘 전기차, 친환경차 + 좋은 실적을 바탕으로 다시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010년도에 현대차 주식을 매수하여 지금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수익률에는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2010년 10위 기업 현대중공업>

 

한국조선해양 (2020년 11월 16일 12:00 기준)

 

현대중공업은 '한국조선해양'으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10년 기준으로 우하향 후 큰 변동폭을 보이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2010년은 차화정 장세라고 하여 자동, 학, 유 - 이 3개 섹터가 크게 상승하였고 이후 꾸준히 하락하였습니다.

 

최고점(2011년 4월 15일)에 현대중공업 주식을 매수하여 지금(99,000원)까지 보유하고 있다면

수익률 : -508% = 약 5배의 손실을 기록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0년 7위 기업 한국전력>

 

한국전력 (2020년 11월 16일 12:00 기준)

 

10년 기준으로 우상향 하였다가 다시 우하향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꾸준한 실적과 함께 배당금이 매력적인 한국전력은 2016년 저유가로 인하여 큰 이익을 내며 큰 폭으로 상승하지만, 공기업의 최대의 단점 정부의 가격 인하 정책으로 인하여 다시 우하향 기조를 보입니다.

 

2010년도 3만 원 정도에 한국전력 주식을 매수하여 지금(21,000원)까지 보유하고 있었다면

수익률 : -42% = 약 0.5 배의 손실을 기록한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제가 시가총액 순으로 비교를 진행한 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생각 "대기업은 망하지 않는다" "주식 변동폭도 작을 것이다"라는 생각이 틀릴 수도 있다는 걸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또한 시가총액 상위 기업으로 비교를 진행하여도 이러한 변동폭을 기록하는데 중소기업들로 비교를 진행 한다면 더 큰 변동폭을 나타낼 것입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사실은 아무리 큰 기업이라도 주가가 계속 상승만 하기는 힘들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거나 상승추세 또는 하락 추세를 그린다는 점입니다.

 

포스코를 2010년이 아닌 2018년에 매수하였다면, 한국전력을 2010년이 아닌 2016년에 매수하였다면 위에 수익률은 - 에서 + 로 바뀌게 될 것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