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하는 남자/리포트

모멘텀 투자 (이베스트 투자증권)

by 기기남녀 2021. 1. 25.
728x90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요즘 주식시장은 펀더맨탈(기업의 실적) 보다 센티먼트(개인의 심리)가 앞서는 시장인거 같다는 생각을 하고 있었습니다.

이런 생각에 도움이 되는 자료가 있어 공유하고자 합니다.

 

모멘텀 전략 
(물리학, 심리학, 그리고 행동경제학)
- 이베스트투자 증권 리서치센터 투자전략팀 염동찬 연구의원

 

모멘텀 이란 ? 

: 물리학에서 모멘텀(Momentum)은 운동량을 의미합니다. 움직이는 물체에 힘을 가할 때, 운동량이 크다면 반대방향의 힘이 작용한다고 하더라도 일정시간 원래 방향대로 움직일 것입니다.

 

주식 시장의 모멘텀도 이와 유사합니다. 강한 흐름을 보였던 주식이 이후에도 단기적인 강세를 보이는 현상을 모멘텀이라고 표현합니다.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질문1) 50% 확률로 1,0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VS 100% 확률로 5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응답자의 84% - 100% 확률로 500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질문2) 50% 확률로 -1,000원의 손실이 발생 한다 VS 100% 확률로 -500원의 손실이 발생 한다

응답자의 69% - 50% 확률로 -1,000원의 손실이 발생 한다

 

 연구에서는 사람들은 이익에 대해서는 불확실성을 거부하고, 손실에 대해서는 불확실성 을 받아들이는 비대칭성이 있다고 설명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자기 귀인 오류는 투자자들의 투자가 성공했을 때에 본인들의 능력 덕분이었다고 생각 하고, 실패했을 때는 외부 요인 때문이었다고 생각하는 오류를 의미

 

▶ 주가가 펀더멘털보다 높게 상승했을 때, 투자자들은 본인들이 성공적인 의사결정 이라고 판단하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주식 비중을 늘리며 이는 주가가 적정한 펀더멘털 까지 더 먼길을 다녀오면 변동성이 커진다는 설명이다

 

 개인주의 점수가 높은 국가일수록 주식시장의 모멘텀 현상이 더 잘 나타난다고 설명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리서치센터

평균수익률이나 상승 확률 측면이나 반등 국면이 가장 강하다는 점 이다. 12개월 수익률은 마이너스이고 1개월 수익률은 플러스인 영역에 있는 종목 비중 이 많을 때 주식을 매수하는 것이 평균 수익률이나 상승확률 측면에서 모두 긍정적이라 는 의미

 

강세 영역에 있는 기업 비중이 가장 높을 때 역시 성과는 나쁘지 않았지만, 반등 국면 에는 미치지 못한다. 다만 한국의 경우 강세 국면 비중이 가장 많다는 점에서, 투자자 입장에서는 투자하기 나쁘지 않은 국면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경우, 시장 측면에서는 반등 국면에 있는 기업 비중이 높을 때 성과가 좋지만, 종목 측면에서는 강세국면에 있는 기업이 성과가 좋다

 

 

 

출처: 이베스트 투자증권 리서치센터

▶ 한국/미국 모멤텀 투자 ETF

 

 

[210125_염동찬_알파벳_vol2(완)]염동찬_1031_Indepth+report+_+12p이상_시장.pdf
1.17MB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