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하는 남자/투자

배당락일 투자법 (tiger 코스닥 150/kodex 코스닥 150)

by 기기남녀 2020. 12. 24.
728x90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은 배당락일 투자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을 오랫동안 하셨던 분들이라면 많이 알고 있는 배당락일 투자법이 있습니다.

저도 매년 배당락일이 다가오면 생각하는 투자법인데요, 과연 올해도 이 방법이 통할지 궁금합니다ㅎ

 

 

 

배당기준일 : 코스닥 ETF 매수
배당락일 : 매도 

투자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배당기준일 (12월 28일) 코스닥 ETF 매수

배당락일 (12월 29일) 점심쯤 매도

 

WHY?? 

 

배당락일에 코스닥 ETF가 오르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첫째, 대주주 회피 물량이 배당락일에 일부 매수로 전환되기 때문입니다.

 

대주주의 경우 양도세를 내야 되기 때문에 양도세 회피 물량이 11~12월 나오게 됩니다.

(배당기준일 주식수 X 마지막 거래일의 주가)가 10억을 넘으면 대주주가 됩니다.

이에 배당기준일까지 주식수를 줄여놓고 배당락일에 다시 주식수를 늘리는 투자자들이 있습니다.

 

둘째, 배당락일에 현금흐름 은 발생하지 않지만, 미수령 배당금이 NAV에 가산되면서 NAV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NAV(Net Aseet Vaule)은 순자산가치로 ETF가 보유한 자산의 가치를 나타냅니다.

ETF에 편입된 종목에서 배당금이 발생되면 실제로 배당금을 수령하지는 않았지만 발생주의 원칙에 의해 NAV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과거 7년간 배당기준일 대비 배당락일 주가가 높은 현상을 보였습니다.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제공

2015년의 경우, 배당락일에 6% 의 상승을 보였고 2017년의 경우, 5%의 상승을 보인 걸 알 수 있습니다.

 

2018년도만 유일하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아마도 2018년은 주식시장이 좋지 않아 대주주 회피물량이 적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해 봅니다.

 

2019년의 경우도 배당락일이 KODEX = + 1.79% TIGER = +2.13% 상승하였습니다.

 

해당 투자방법은 퀀트를 베이스로 한 투자법입니다.

모든 투자가 그렇듯 절대적인 것은 절대로 없습니다.

과연 2020년에도 코스닥 ETF 가 상승할지, 아니면 2020년도에는 큰 하락을 할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이에, 큰 금액의 투자는 절대 금물입니다!

 

 

youtu.be/pK6zebYVH-c

 

※ 본 포스팅은 참고자료일 뿐 매수 및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 정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어떠한 경우에도 본 자료는 주식투자의 결과에 대한 법적 소재의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음을 밝힙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