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얼마 전 주식투자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친구와 대화를 하다가 많이 놀랐습니다.
기기남 : 너 그건 왜 산거야?
친구1 : 유튜브 봤는데 오른데
기기남 : 뭐 하는 회사인지는 알아?
친구1 : XXX 관련주라는데?
기기남 : 아.... 근데 너 PER은 알아?
친구1,2 : 그게 몬데?
오늘부터 주식투자의 기본 중에 기본!
주식 지표에 대해 포스팅해 보려고 합니다.
| 왜 주식 지표를 알아야 하는가?
"위대한 기업에 투자하라" (저자 : 필립 피셔) 에 나온 일부분입니다.
" 당신이 대학교를 졸업하는 날이라고 생각해보자. 대학교를 가지 않았다면 그냥 고등학교 졸업식 날이라고 생각해도 관계없다. 함께 졸업하는 친구들 가운데 몇 명이 당신에게 아주 급하게 돈을 빌려달라고 한다. 전부들 똑같은 제안을 내놓는다. 자신들이 일자리를 잡은 뒤 첫해에 받게 될 1년 치 연봉의 10배에 해당하는 금액을 준다면 자신들이 매년 버는 돈 가운데 4분의 1을 평생 동안 당신에게 지급하겠다고 말이다. 그런데 당신이 갖고 있는 돈으로는 모두 세 명의 친구들에게만 이들이 제안한 금액을 줄 수 있다.
이제 당신은 올바른 원칙에 따라 주식을 선정하는 투자자와 매우 유사한 상황이 됐다. 당신은 즉시 어떤 친구들에게 돈을 줄 것인지 분석하기 시작할 것이다. "
일부 내용만 발췌했지만 주식투자에 대한 정말 적절한 예라고 생각합니다!
대학교 친구"A, B, C, D, E"가 저에게 제안합니다.
"A, B, C, D, E" : 내 초봉의 10배의 해당하는 금액을 나에게 투자해라!
그러면 내가 매년 버는 돈의 4분의 1을 평생 너에게 줄게!
이런 제안을 받았을 때 과연 저는 어떤 사람에게 투자를 해야 할까요?
우선 이 조건이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을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입니다.
: 내가 투자하는 사람이 오랫동안 일을 해야 하고 연봉 상승률도 높아야 투자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A, B, C, D, E, 중 과연 누가 오랫동안 일을 하고 큰 연봉 상승률을 기록할 수 있을까요?
1. 일단 제가 잘 아는 친구를 검증할 것입니다.
: A는 나랑 친했던 친구입니다. 저는 A가 어떤 대학생활을 해왔는지 알고 있고 그 친구가 앞으로 어떤 삶을 살아갈지 대충은 알 수 있기 때문에 그 친구에게 투자를 할지 말지 고민을 할 것입니다.
2. 대학교에서 유명했던 사람에게 관심을 가질 것입니다.
: B는 대학교에서 유명했던 친구입니다. 학생회장 출신이라 말도 잘하고 성격도 좋은 친구로 알고 있습니다.
종종 B와 이야기는 해봤는데 A만큼은 친하지 않아 B가 졸업 후 어떤 삶을 살아갈지 확신이 들지 않습니다.
3. 내가 아는 친구들을 검증했다면 그다음은 잘 모르는 친구들을 검증할 것입니다.
: C는 제가 잘 모르던 친구입니다. 저는 C를 잘 모르기 때문에 C와 친했던 친구들을 찾아가서 그가 어떤 대학생활을 해왔는지 묻고 그에 대해 간접 경험을 할 것입니다.
1~3번은 A, B, C, D, E 중 누구에게 투자를 할지 대략적으로 검증하는 단계입니다.
▶ 주식투자로 따지면 내가 어떤 기업에 투자를 할지 결정하는 단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내가 매일 출근하기 전 들리는 "스타벅스"가 1번에 해당할 것이고, 뉴스에 연신 최고가를 경신했다고 나오는 "테슬라"가 2번에 해당할 것입니다. 그리고 "수많은 기업"들이 3번에 해당 할 것입니다.
이렇게 1단계로 저는 A, B, C라는 친구에게 투자를 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큰 돈을 투자해야 되기 때문에 또 다른 검증을 해보려고 합니다.
4. A,B,C 친구에게 대학교 성적표를 요청하였습니다.
: A의 학점은 4.0, B의 학점은 4.3, C의 학점은 3.9 입니다.
5. A, B, C의 전공을 확인해 봅니다.
: A의 전공은 경영학, B의 전공은 법학, C의 전공은 의학 입니다.
6. A, B, C에게 이러한 투자를 나 말고 다른 사람에게도 제안했는지 물어봅니다.
: A, B, C 모두 다른 친구들 한태도 이런 제안을 했다고 합니다.
1~3번에서 투자할 친구를 선택하였다면 그다음은 그 친구를 철저히 분석해야 할 것입니다.
▶ 기업을 분석하는 것이 4~6번에 해당할 것입니다.
내가 투자할 기업의 재무제표를 철저히 파악하여 과거 성적이 어떠했는지 확인해 봐야 할 것이고 해당 기업의 섹터를 파악하여 그 섹터의 발전 가능성도 확인해 봐야 할 것입니다.
또한 아무리 좋은 기업이라도 이미 수많은 투자자가 투자하여 그 기업의 가치가 높아져 있다면 제가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줄어들 수밖에 없게 될 것입니다.
| 결론
위에 1~3번은 내가 직접 경험한 기업, 애널리스트의 분석으로 얻은 아이디어를 통해 투자 기업을 선정하는 과정입니다.
투자할 기업을 선정했다면 투자 할 기업을 철저히 분석해야 할 것이고 그중 가장 기본이 되는 투자지표를 알 아야 할 것입니다.
다음 포스팅은 아래 사진처럼 기업분석에 있어서 가장 기본인 투자지표에 대해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기록하는 남자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지표 (ROE/ROA/수익성지표) (0) | 2020.12.04 |
---|---|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0) | 2020.12.03 |
경기민감주_2 (금호석유/시크리컬산업) (0) | 2020.11.29 |
경기민감주_1 (Cyclicals/시크리컬산업/돼지 사이클) (0) | 2020.11.26 |
장기투자 vs 단기투자 _ 결론 (0) | 2020.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