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부터 주식 투자 기본지표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이런 걸 왜 알아야 하는지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 투자 지표 (왜 알아야 하는가?) (tistory.com)
주식 투자 지표 (왜 알아야 하는가?)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얼마 전 주식투자를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은 친구와 대화를 하다가 많이 놀랐습니다. 기기남 : 너 그건 왜 산거야? 친구1 : 유튜브 봤는데 오른데 기기남 : 뭐 하는
kikinam.tistory.com
| EPS (Earning Per Share)
" 주당 순이익 "
: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지표
[ 순이익(당기순이익) / 총 발행 주식수 ]
※ EPS는 높을수록 좋습니다.
| PER (Price Earning Ratio)
" 주가 수익비율 "
: 순이익(당기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얼마나 되는지 나타내는 지표
[ 주가 / EPS ]
※ PER은 낮을수록 좋습니다. (=낮을수록 저평가되었다)
| 기기남녀의 대화를 통해 EPS 와 PER 알아보기 !!
기기녀 : 저 글만 봐서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기기남 : 내가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
"A"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0만원 , 총 발행주식수는 100주 라고 가정을 해보자!
※시가총액은 "총 발행주식수 X 주식 가격" 임으로 A라는 기업의 현 주식 가격은 10만원 이 되겠지?
기기녀 : 응!
기기남 : A 라는 기업이 1년 동안 열심히 장사를 해서 순수익 500만원을 벌었다고 가정한다면
EPS은 50,000원이 되는 거야! (5,000,000/100 = 50,000) = 순이익/총 발행주식수
기기남 : 즉, A라는 기업이 1년 동안 장사를 해서 1주당 5만원의 이익을 창출했다고 보면 되는 거지!
기기녀 : 근데 이게 대체 무슨 의미가 있는 건데?
기기남 : 주식시장에는 수많은 기업들이 있잖아~ 그 기업들을 비교할 때 쓰는 거야!
예를 들어 A라는 기업의 EPS는 5만원이고 B라는 기업의 EPS는 3만 원이라면 어떤 기업이 더 좋아 보여?
기기녀 : 당연히 A 지!
기기남 : 맞아! 주식수가 적거나 또는 기업의 이익이 높으면 EPS는 높아지고, 주식수가 많거나 기업의 이익이 낮으면 EPS는 낮아지는 거야~
기기녀 : 오! 그렇구나!! 그럼 PER은 모야??
기기남 : PER은 간단하게 설명하면 "기업의 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높은지 낮은 지를 나타내는 지표" 야
기기녀 : ???
기기남 : 이것도 예를 들어 설명해 줄게!
위에 A라는 기업의 EPS는 50,000원이었고 주가는 100,000원 이었잖아~
그렇다면 A라는 기업의 PER은 얼마일까?
기기녀 : PER은 '주가/EPS' 이니까... "2"
기기남 : 맞아!! 주가(100,000) 나누기 EPS(50,000) = 2 , A기업의 PER은 2가 되는 거야!
기기남 : 이 방식도 좋지만 나는 다른 방식으로 PER을 계산해!
PER = 주가/EPS
= 주가/(당기순이익/총발행주식수)
= 주가 X (총발행주식수/당기순이익)
= (주가 X총발행주식수)/당기순이익
▶ PER = 시가총액/당기순이익
기기남 : 즉, 당기순이익 대비 시가총액이 얼마인지 나타내는 지표가 바로 PER인 거지!
A라는 기업의 PER이 2라는 건 A라는 기업이 2년 장사를 하면 시가총액만큼 돈을 번다는 애기인 거지!
'A'라는 기업의 PER이 2이고 'B'라는 기업의 PER이 5라면, A라는 기업은 2년만 장사를 하면 시가총액만큼 돈을 벌 수 있는 거고 B라는 기업은 5년을 일해야 시가총액만큼 돈을 벌 수 있는 거지!
시가총액이 낮거나 기업의 순이익이 높으면 PER은 낮아지고
시가총액이 높거나 기업의 순이익이 낮으면 PER은 높아지는 거야!
시가총액이 낮다는 건 그만큼 주가가 낮다는 애기니까 = PER이 낮다 = 주식이 저평가되어있다.
이렇게 결론 내릴 수 있는 거지~
기기녀 : 무슨 이야기인지 알 것 같아!! 그럼 PER이 낮은 기업에 투자를 하면 되는 거네??
기기남 : PER이 낮다는 건 저평가되어있다는 애기지만 그렇다고 PER만 보고 투자를 하면 안 돼!
그 이유는 업종별로 PER 평균이 다 다르기 때문이야! 소위 성장주라고 불리는 인터넷 기업들, 바이오기업들의 PER은 상대적으로 높고소위 가치주라고 불리는 은행, 건설, 금융 등의 PER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 이거든
해당 업종별 평균 PER을 파악하고 업종 내 저평가된 종목에 투자하는 게 PER 지표를 활용하는 방법인 거야~
마지막으로 아래 표는 삼성전자의 기본 재무정보를 나타내는 표야!
당기순이익이 늘어나면 EPS가 높아지고 PER이 낮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거야!
(투자의 타이밍은 아래 글 참고)
경기민감주_1 (Cyclicals/시크리컬 산업/돼지 사이클) (tistory.com)
경기민감주_1 (Cyclicals/시크리컬산업/돼지 사이클)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 주식투자에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요즘 이 단어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경기민감주"에 투자해라! "시크리컬 산업"에 주목하라! 오늘은 경기민감주(시크리컬산
kikinam.tistory.com
오늘 제가 설명한 2지표(EPS/PER)는 기업이 얼마나 돈을 벌고 있는지"수익 대비 주가"에 초점을 맞춘 수익성 지표입니다.
다음은 또다른 수익성 지표 ROE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록하는 남자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지표 (BPS/PBR) (0) | 2020.12.05 |
---|---|
주식 투자 지표 (ROE/ROA/수익성지표) (0) | 2020.12.04 |
주식 투자 지표 (왜 알아야 하는가?) (2) | 2020.12.02 |
경기민감주_2 (금호석유/시크리컬산업) (0) | 2020.11.29 |
경기민감주_1 (Cyclicals/시크리컬산업/돼지 사이클) (0) | 2020.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