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하는 남자/투자

주식 투자 지표 (BPS/PBR)

by 기기남녀 2020. 12. 5.
728x90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은 주식투자 지표 중 안정성 지표에 해당하는 BPS , PBR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수익성 지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tistory.com)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부터 주식 투자 기본지표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이런 걸 왜 알아야 하는지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 투자 지표 (왜 알아야 하는가?) (tistory

kikinam.tistory.com

 

| BPS (bookvalue per share)

" 주당 순자산가치 "

: 기업이 활동을 중단한 뒤 그 자산을 모든 주주들에게 나눠줄 경우 1주당 분배되는 금액

 

[ 순자산/총발행주식수 ]

※ 순자산 = 총자산 - 부채

 

| PBR (Price Book-value Ratio)

" 주가순자산비율 "

: 주가와 1주당 순자산을 비교한 수치

 

[ 주가/BPS ] or [ 시총/순자산 ]


| 기기남녀의 대화를 통해 BPSPBR 알아보기 !! 

 

기기녀 : 나 BTS는 아는데.... BPS는 모르겠어^^

 

기기남 : 내가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 

 

'A'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 1천만원, 총 발행주식수는 : 1,000주, 주가는 : 10,000원 이라고 가정을 해보자!

그리고 이 기업의 총 자산은 2천만원 , 부채는 1천만원 , 순자산은 1천만원 (총자산-부채) 이라고 할때

 

이 기업의 BPS는 얼마일까?

 

기기녀 : BPS는 순자산 나누기 총 발행주식수 이니까... " 10,000 "

 

기기남 : 맞아!! 이 기업의 BPS는 10,000원이 되는거야! 

BPS는 청산가치 라고도 얘기하거든~ 만약 A라는 기업이 사업을 하다가 망할경우 나는 10,000원을 받을 수 있는거지!

지금 A라는 기업의 주가가 1만원 이니까 내가 만약 A라는 기업을 8천원에 샀으면 2천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는거고, 2만원에 샀으면 1만원을 손해 보는거지!

 

기기녀 : 아! 그럼 PBR은 몬데?

 

기기남 : PBR은 순자산과 시가총액을 비교하는거야!

A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1천만원, 순자산도 1천만원 이잖아~ 그럼 PBR은 얼마일까?

 

기기녀 : 당연히 "1" 이지!!

 

기기남 : 맞아! 이 기업의 PBR은 "1" 이되는거야! (10,000,000/10,000,000 = 1)

PBR 1의 의미는 A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이랑 순자산이 똑같다는걸 의미해!

 

만약, B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1천만원이고 순자산은 2천만원이라고 한다면, B 기업의 PBR은 "0.5" 

누군가가 B라는 기업의 주식을 몽땅 사서 B의 주인이 되었다고 한다면, 이 사람은 1천만원을 투자해서 순자산 2천만원을 얻게 되는거지!  

 

즉! PBR이 낮을수록 해당기업은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되는거야!

 

기기녀 : 아! 그럼 PBR이 낮은 기업만 골라서 매수하면 되겠네?

 

기기남 : PBR이 낮은기업이 저평가된 기업은 맞지만 또 고려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어!

PBR은 순자산과 시가총액을 비교한다고 얘기했자나~ 근데 순자산은 기업의 땅이 될수도 있고 그 기업의 기계설비가 될 수도 있는거야!

 

A 라는 기업은 순자산의 대부분이 옷을 만드는 기계 이고,

B 라는 기업은 순자산의 대부분이 현금 이라면,

그리고 이 두 기업의 PBR이 동일하다면 어떤 기업에 투자하는게 옳은 선택일까?

 

기기녀 : 기계는 다시 팔아야 하고 오래되면 가치도 떨어지니까....  현금을 가지고 있는 B 겠지!

 

기기남 : 맞아!! PBR이 낮다고 무조건 저평가 되었다고 생각하면 안되고 그 기업의 순자산이 어떤걸로 구성되어 있나 잘 확인해 볼 필요가 있어! (순자산은 기업의 재무상태표를 보면 알 수 있어!)

 

그리고 현금이 많다는건 코로나 처럼 위기 상황이 올 경우 기업을 잘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도구가 되지만! 

현금만 너무 많이 가지고 있다는건 이 현금을 기업의 미래를 위한 투자로 연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이기도 하니까, 현금이 많은 기업은 미래 성장가능성을 한번 더 체크해 보는것도 필요해!

 

기기녀 : 주식은 역시 정답이 없는거 같아... 

 

기기남 : 맞아! 그리고 코로나 이후의 주가 흐름을 보면 이런 PBR이 낮은 기업보다 PBR은 높지만 미래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이 크게 상승한걸 볼 수 있어.

 

은행처럼 현금을 많이 가지고 있거나, 자동차 회사처럼 큰 공장과 많은기계를 가지고 있는 회사들은 PBR이 1도 되지 않지만, 네이버, 카카오 처럼 물건을 만들어 내는 회사가 아닌 경우 PBR은 5~6 정도로 상대적으로 높다고 볼 수 있어

업종별 PBR을 다르게 적용해서 기업가치를 산정하는게 필요한 부분이지!

 

마지막으로 아래 표는 삼성전자의 기본 재무정보를 나타내는 표야!

BPS가 계속 늘어나는건 순자산이 계속 증가한다는걸 보여주는거고

PBR이 늘어난다는건 그만큼 주가가 올랐다는걸 보여주는거야! 

 

오늘은 기업의 안정성을 확인해 볼 수 있는 PBR에 대해 설명 드렸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지표도 알지 못하고 투자하는건 정말 위험하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기본적인 것부터 차근차근 익혀서 모두 성공적인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