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은 주식투자 지표 중 EV , EV/EBITDA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 EV (Enterprise Value)
" 기업의 가치 "
: 기업 매수자가 매수 시 지급해야 하는 금액
[ 시가총액+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예금) ]
| 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 세전 영업이익 "
: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이는 현금창출 능력을 보여주는 수익성 지표
| EV/EBITDA
" 기업의 가치를 세전 영업이익으로 나눈 값 "
: 자기 자본과 타인자본을 이용하여 어느 정도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지표
[ EV/EBIDA = (시가총액+순차입금) / (영업이익+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제세금) ]
| 기기남녀의 대화를 통해 EV/EBITDA 알아보기!!
기기녀 : 저 글만 봐서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기기남 : 내가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
A라는 기업의 시가총액은 100억, 순부채가 50억이라고 하면 EV는 150억이 되는 거야!
내가 돈이 많아서 어떤 기업을 인수하려고 할 때 보는 지표가 EV라고 생각하면 돼
보통 시가총액을 주주의 가치, 순부채는 채권자의 가치로 인식하고 이 두 가지를 합한 게 EV가 되는 거지
기기녀 : 아~ 간단하게 EV는 그냥 해당 기업의 가치라고 생각하면 되는 거네??
기기남 : 맞아!!
기기녀 : 그럼 EBITDA는 모야?
기기남 : 이것도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
A라는 기업의 매출액은 10억, 비용은 5억이라고 가정을 하고
B라는 기업의 매출액은 20억, 비용은 10억, 감가상각비 5억이라고 가정을 한다면
A, B 기업의 EBITDA는 얼마일까?
기기녀 : A기업의 영업이익은 5억이고 감가상각비 등 다른 비현금성 비용이 없으니까 A기업의 EBITDA는 5억!
B기업의 영업이익은 10억이고 감가상각비가 5억이니까 B기업의 EBITDA는 15억
기기남 : 맞아!! A기업과 B기업 모두 재무제표 상의 당기순수익은 5억으로 동일하지만, 이 두기업의 규모가 같다고 볼 수 있을까? 그건 아니야!
A라는 기업은 투자 없이 순수익으로 5억을 벌고 있지만 B라는 기업은 시설에 투자하여 매년 감가상각비로 5억이 감가 되고 있기 때문에 A기업 보다 B기업이 더 크다고 볼 수 있지
즉, EBITDA는 장비업체, 반도체, 자동차 등 대규모 투자가 많이 이루어진 섹터의 업체들이 그렇지 않은 업체들보다 크다고 볼 수 있고 이런 업체들의 투자가치를 확인해 주는 지표로 볼 수 있어
기기녀 : 아! 몬지 알 것 같아! 그럼 EV/EBITA는 모야?
기기남 : EBITDA에서 예로 들었던 A, B 기업을 그대로 다시 예로 들어 볼게!
A라는 기업의 매출액은 10억, 비용은 5억, 시가총액은 15억, 순부채는 5억이라고 가정을 하고
B라는 기업의 매출액은 20억, 비용은 10억, 감가상각비는 5억, 시가총액은 20억, 순부채는 10억이라고 가정한다면
A, B 기업의 EV/EBITDA는 얼마일까?
기기녀 : A기업의 EV는 시가총액 15억 + 순부채 5억 = 20억이고, EBITA가 5억 이였으니까, EV/EBITDA는 "4"
B기업의 EV는 시가총액 20억 + 순부채 10억 = 30억이고, EBITA가 15억 이였으니까 EV/EBITDA는 "2"
기기남 : 맞아!!
EV/EBITDA가 4라는 얘기는 내가 해당 기업을 인수하였을 때 4년이 지나면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말이고, EV/EBITA가 2라는 얘기는 2년이 지나면 투자금을 회수 할 수 있는 얘기야!
EV/EBITDA는 저번에 설명한 PER과 같이 확인하는 게 좋아!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tistory.com)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부터 주식 투자 기본지표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이런 걸 왜 알아야 하는지는 지난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주식 투자 지표 (왜 알아야 하는가?) (tistory
kikinam.tistory.com
예를 들어 2020년 A라는 기업의 영업이익은 -10억인데 건물과 기계들을 팔아서 50억을 벌었다고 가정한다면 2020년 A기업의 당기순이익은 40억이 되는 거지!
단순 PER로만 확인한다면 A기업은 좋은 기업이라고 생각하겠지만 실상 A기업은 땅도 없고 기계도 없어서 곧 망할 기업인 거지!
특별이익, 일회성 이익 등을 통해 발생할 수 있는 "PER의 함정"을 EV/EBITA를 통해 걸러 낼 수 있어
위에 표는 삼성전자의 기본 재무정보를 나타낸 표야
위에서 볼 수 있듯이 PER과 EV/EBITDA는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어!
만약, PER이 급격하게 떨어졌는데 EV/EBITDA는 전년도와 비슷하다면 위에서 설명한 무언가의 문제가 발생했다고 생각하고 제무재표를 더 상세히 살펴봐야 할 거야!
오늘은 EV/EBITDA에 대해 이야기해 보았습니다.
이런 보조지표들을 통하여 조금이라도 안전한 투자 하시길 바랍니다^^
'기록하는 남자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당주_2 (배당금 높은 주식/배당주 순위/동양고속 배당금) (4) | 2020.12.11 |
---|---|
배당주란? (2020년 배당락일/주식 배당금 기준일/주식 배당금 받는법) (4) | 2020.12.10 |
주식 투자 지표 (BPS/PBR) (0) | 2020.12.05 |
주식 투자 지표 (ROE/ROA/수익성지표) (0) | 2020.12.04 |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0) | 2020.1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