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기기남 입니다!
오늘은 주식 투자 지표 중 수익성 지표를 대표하는 ROE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 ROE (Return On Equity)
" 자기 자본 이익률 "
: 투입한 자기 자본이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 (당기순이익/자기 자본) X 100 ]
| 기기남녀의 대화를 통해 ROE 알아보기!!
기기녀 : 저 글만 봐서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어......
기기남 : 내가 예를 들어 설명해 볼게!
내가 1억을 투자하여 치킨집을 개업했어~ 그리고 1년 동안 장사를 해서 순수익 1천만원을 벌었어!
그럼 ROE는 10%가 되는 거야! (1천만원/1억) X 100
즉, 내가 투자한 비용 대비 얼마만큼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지표인 거지!
기기녀 : 아! 그럼 ROE가 높은 게 좋은 거네??
기기남 : 맞아!! 'A'라는 기업은 1억을 투자해서 1천만원의 수익을 내고, 'B'라는 기업은 1억을 투자해서 5만원의 수익을 낸다면 A회사의 ROE는 10% , B회사의 ROE는 5% - 즉 A회사가 B회사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업을 한다고 볼 수 있는 거지!
기기녀 : 간단하네!! 그럼 ROE가 높은 회사만 골라서 사면되겠네??
기기남 : ROE가 높은 회사가 좋은 회사는 맞아. 하지만! 주의해야 될 몇 가지 사항들이 있어!
첫째, 회사의 ROE가 꾸준히 증가하는지 또는 꾸준히 ROE를 유지하는지 확인해 봐야 해!
꾸준히 ROE를 유지한다는 건 회사의 이익이 꾸준히 증가한다는 걸 의미해!
회사의 순이익은 결국 이익잉여금으로 자본에 쌓이기 때문에 자본이 증가하는 만큼 이익이 늘어나지 않으면 ROE는 유 지될 수가 없는 거지!
둘째, 배당/투자성향이 어떠한 기업인가 확인해 봐야 해!
배당 성향이 높은 기업과 투자를 자주 하는 기업의 경우 기업의 순이익이 자본으로 쌓이지 않고 주주들에게 돌아가거 나 투자비용 등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이익이 증가하지 않아도 ROE가 유지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지!
물론, 배당성향과 투자가 활발한 기업이 안 좋은 기업이라고 얘기하는 건 절대 아니야! ROE 관점에서 이 부분을 확인해 서 ROE가 고평가 되어있는지 체크해 봐야 해!
셋째, 부채비율이 어떠한가를 확인해 봐야 해!
다시 치킨집을 예로 들어볼게! 내가 1억을 투자해서 1천만원의 수익을 얻었는데, 이 중 5천만원이 은행에서 빌린 돈이 라면 나의 ROE는 어떻게 될까?
ROE는 자기 자본 이익률이기 때문에 자기 자본은 5천만원이 되는 거고 수익은 동일하게 1천만원 이니까 ROE는 25%
가 되는 거야!
부채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ROE가 높아 보일 수 있는 거지!
그래서 자기 자본 + 부채를 합쳐서 계산하는 방법이 있어!
| ROA (Return On Assets)
" 총자산 순이익률 "
: 기업의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을 얼마나 올렸는지를 가늠하는 지표
[ (당기순이익/총자산) X 100 ]
기기남 : 부채가 많은 기업이라면 ROA도 같이 비교해 보면 좋을 거야!
마지막으로 아래 표는 삼성전자의 기본 재무정보를 나타내는 표야!
2017년 대비 2018년 당기순이익이 증가했는데도 불구하고 ROE는 감소한 걸 볼 수 있을 거야!
바로 자본이 증가했기 때문이지! 그리고 당기순이익이 감소하면 ROE도 급격히 감소하는 모습을 볼 수 있을 거야!
오늘은 주식 지표 중 수익성 지표인 ROE에 대해 포스팅해보았습니다.
다음에는 안정성 지표에 대해 포스팅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록하는 남자 >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투자 지표 (EV/EBITDA/ VS PER) (0) | 2020.12.09 |
---|---|
주식 투자 지표 (BPS/PBR) (0) | 2020.12.05 |
주식 투자 지표 (EPS/PER/업종 평균 PER) (0) | 2020.12.03 |
주식 투자 지표 (왜 알아야 하는가?) (2) | 2020.12.02 |
경기민감주_2 (금호석유/시크리컬산업) (0) | 2020.11.29 |
댓글